1. OS 이미지 다운로드 및 설치 정보 참고.
- http://www.centos.org 에서 설치 버젼 이미지 다운로드
- 또는 mirror 사이트인 ftp.daum.net 에 ftp 접속 후 설치 버젼 다운로드
- 단독 설치 및 Microsoft Virtual PC 2007 RC1 또는 VMware 에 설치.
2. MS Virtual PC 에서는 GUI 모드 설치가 지원안됨. TEXT 모드로 설치.
2-1. text 모드 설치를 위해 linux text 를 입력한다.
2-2. 미디어 테스트 단계
- 다운받은 OS 파일에 대한 확인을 위한 옵션으로 선택시 미디어 테스트 진행.
- 기존에 확인 한 내용이라 이번은 Skip 으로 다음 단계로 넘어감.
2-3. Welcome 메시지
2-4. 설치 Language 선택.
- 한글 선택시 깨짐 현상 발생함. 영문으로 선택 후 OK
2-5. 키보드 선택 화면. 영문으로 선택
2-6. 파티션 정보를 읽지 못한다는 메시지, 초기화 진행 여부 확인 => YES
2-7. 파티션 설정 타입 설택 및 설치 하드 선택
- 선택한 드라이브 상의 모든 파티션 삭제 하고 디폴트 레이아웃 만든다
- 선택한 드라이브 상의 리눅스 파티션을 삭제하고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든다.
- 선택한 드라이브의 여유 공간에 디폴트 레이아웃을 만든다.
-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.
- 테스트 용이라 디폴트 선택 이다.
2-8. 확인
2-9. 설정 후 파티션 정보를 확인할건지 확인. YES로 구성 확인 하기.
2-10. 파티션 설정 정보 확인 화면. 디폴트 옵션 설정 화면.
2-11. Boot Loader 설정 화면
2-12. Boot Loader 명칭 지정 옵션. 현재는 리눅스만 운영하기 때문에 디폴트 Ok
2-13. Boot Loader 접근 암호 사용 여부. Default OK
2-14. Boot Loader 에 대한 이름을 따로 지정한게 아니기 때문에 디폴트로 잡히는 이름으로 설정.
- 2-12 에서 이름 지정하면 그 이름으로 표시됨.
2-15. Boot Loader 설치 영역 지정. MBR 에 설치.
2-16. 네트웍에 대한 설정 여부. 설정 하고 진행할 예정이라 Yes
2-17. 네트웍 설정 부분. 부팅시 네트웍 활성 및 타입 설정. IPv4 방식만 지원 하도록 선택.
2-18. 네트웍 아이피 지정. 메뉴얼 선택으로 내부 아이피 지정 함. DHCP 로 사용하면 자동 IP 설정됨.
2-19. 메뉴얼 설정이라 Gateway 및 DNS 정보 입력 필요.
2-20. 호스트 네임 설정 부분. 메뉴얼로 별도로 지정함.
2-21. 타임존 설정. Asia/Seoul 로 지정.
2-22. Root 암호 설정.
2-23. 패키지 선택. 최소 설치를 원할시 모든 패키지 선택 해제. 설치 후 yum 으로 필요한 프로그램만 설치 가능
- Oracle 사용을 위해 Gui 인 Gnome 만 설치. 나머진 필요한 내용만 yum 또는 Source 인스톨 예정.
- Customize software selection 체크시 패키지 그룹에 대한 상세 패키지 선택 설치 가능.
2-24. Customize software selection 선택시 나오는 세부 항목에 대해 선택 가능.
- 패키지 확인 후 필요없는 항목 선택 해제.
2-25. 설치 후 설치 관련 로그 저장 위치.
2-26. 설치에 필요한 미디어 정보.
2-27. 설치 진행 표시.
2-28. 설치 완료 후 Reboot
- 설치 후 기본 설정 옵션 설정.
- yum 업데이트 실행.
---- Text 모드 설치 끝..........